본문 바로가기

[선택 과목 바로 알기]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내게 맞는 과학 진로선택 과목은?

선택 과목 바로 알기  | 과학

 

1학년 공통 과목으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배운 뒤 2~3학년 때 일반선택 과목으로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을, 진로선택 과목으로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한다. 
일반고라도 학교에 따라서는 전문 교과Ⅰ에 속한 <고급물리학> <물리학실험> <화학실험> <생명과학실험> <지구과학실험> <정보과학> 등을 개설해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기도 한다. 과학 교과는 다른 교과보다 선택의 폭이 다양하고, 진로에 따라 선택해야 할 과목도 명확하다.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과 비교하면 생소한 과목인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을 중심으로 과목의 특징과 배우는 내용을 알아봤다. 일부 일반고에서 개설된 전문 교과Ⅰ에 속한 실험 과목과 <정보과학>에 대한 정보도 담았다.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  

도움말 강현식 교사(서울 동북고등학교)· 권민우 교사(서울 용문고등학교)·손성만 교사(충남 당진고등학교)·박정희 교사(경남 김해율하고등학교)

자료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선택 과목 평가 기준(과학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진로에 관한 관심을 확장하기 좋은 ‘과학’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1 때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배운다. <통합과학>은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4 영역이 고루 담겨 ‘물질과 규칙성’ ‘시스템과 상호 작용’ ‘변화와 다양성’ ‘환경과 에너지’영역으로 구성됐다. 

 

<통합과학>은 수능에 출제되지 않는 과목이지만,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중 어떤 과목이 자신의 적성과 맞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과목이다. 


2학년 때는 보통 일반선택 과목으로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을, 2~3학년 때는 진로선택 과목으로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등을 편성해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한다. 전문 교과Ⅰ을 일반고에서 개설하기도 한다(표 1). 

 

참고로 전문 교과는 특목고(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제외)에서 편성하는 전문 교과Ⅰ과 특성화고와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서 편성하는 전문 교과Ⅱ로 구분된다. 


과학 교과는 과목별 특징이 명확하므로 쉽고 남들이 많이 하는 과목을 선택하기보다는 자기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과목을 진로와 연계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의 과목 특성과 진로와 연계되는 내용을 표로 정리했다.(표 2). 

 

 

 

 



다양한 교과, 진로와  연결고리가 많은 

<과학사>


서울 동북고 강현식 교사는 “<과학사>는 서양 과학, 동양 과학이 역사적으로 발달해온 과정을 통해 과학이 인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특히 서양사의 흐름과 과학사를 연결해 과학적 발견이나 사건들을 깊이 있게 다루기 때문에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에게도 잘 맞는 선택 과목”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과학사>는 <세계사>나 <역사> 등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과목이다(표 3). 


<과학사>는 ‘과학이란 무엇인가’ 단원에서 철학적, 역사적 접근을 통해 과학을 이해한다. 또한 시대별로 구분한 ‘서양 과학사’,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 과학사’와 ‘한국 과학사’, 그리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과학과 현대 사회’를 다룬다. 

 

따라서 단순히 과학적인 시각, 과학적 의미만 다루는 게 아니라 윤리, 종교, 정치, 문화 등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과학사를 다루기에 어떤 계열의 진로든 교과와 연결 지을 수 있다. 다만 배우는 시대나 영역이 포괄적이어서 어려울 거라는 인식이 많고, 선택 과목 개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많은 학교에서 개설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실생활에 응용된 과학을 배우는 

<생활과 과학>


<생활과 과학>은 생활 속에서 과학적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어렵지 않게 접근하는 과목으로, ‘건강한 생활’ ‘아름다운 생활’ ‘편리한 생활’ ‘문화생활’로 크게 구분된다. 


강 교사는 <생활과 과학>은 과학 원리나 개념보다는 실생활에 어떻게 응용되는지로 접근하기 때문에 다루는 분야가 화장품부터 건축, 의학 계열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학생들이 큰 부담 없이 자신의 진로와 연계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과목”이라고 설명한다(표 4). 


서울 용문고 권민우 교사는 “2018년 2학년 학생들이 <생활과 과학>을 배웠는데 인문·사회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주로 선택했다. 인문·사회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과학 관련 과목을 하나 선택해야 하는데 물리학, 생명과학, 화학, 지구과학보다 부담 없이 접근하면서 실생활과 연계된 다양한 개념을 배우기 때문에 <생활과 과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고 전한다. 

 

진로선택 과목인 <생활과 과학>은 강의식보다는 학생 중심의 발표, 토론, 팀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주제 역시 학생들의 관심 분야를 선택해 활동할 수 있으므로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호기심을 확장해 보여주기 좋다(표 5). 

 


<과학사>와 <생활과 과학>이 접목된 

<융합과학>


<융합과학>은 ‘우주와 생명’ ‘과학과 문명’ 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우주와 생명’ 영역에서는 우주의 탄생부터 태양계의 형성, 지구의 생명체 출현에 이르는 과정에서 주요 과학 개념을 살펴보고, ‘과학과 문명’은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정보통신과 신소재,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에너지와 환경 등 과학과 기술,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예를 들어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단원에서는 육종 기술과 유전자 재조합 작물(GMO)이 개발되면서 현대 식량 생산에 미친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식량 생산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또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태양광 발전의 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발표하는 등 과학적 개념이나 이론을 뛰어넘어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된다(표 6). 따라서 과학 논술이나 면접 준비에 도움이 된다.

 

강 교사는 “<생활과 과학>보다는 과학 개념이나 원리에 관한 내용이 많다. 쉽게 설명하면, 진로선택 과목인 <과학사>와 <생활과 과학>을 합쳐놓은 형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배우는 내용은 깊이 있고 다양하지만, 진로선택 과목으로 성취도 평가를 하기에 학업 부담은 없다. 학교와 교사의 재량에 따라 개설 여부, 수업 방식 차이가 크지만, 학생 활동 중심이라면 충분히 재미있는 수업이 될 것”이라고 전한다. 

 

전문 교과 중 일반고에서 만날 수 있는 실험과

<정보과학>

 

선택 과목은 학교마다 개설 현황이 다르지만, 각 시·도교육청은 거점 학교 프로그램이나 온라인 공동 교육과정 등을 통해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충남 당진고 손성만 교사는 “공동 교육과정에서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물리학실험>을 진행했다. 주로 공학 계열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신청했다. 보통 <물리학Ⅰ·Ⅱ>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선택해 듣고,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전문 교과에 해당하는 <물리학실험>은 공동 교육과정으로 이수해 관심 영역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물리학Ⅰ·Ⅱ>에서 중력가속도를 배웠다면 <물리학실험>에서는 등속원운동, 빗면운동, 진자운동, 자유낙하운동 등 4가지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실험을 한다.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으로 <정보과학> 수업을 진행한 경남 김해율하고 박정희 교사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정보> 과목이 1학년 교양 과목에 편성돼 있어 공학 계열이나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 관련 진학을 염두에 둔 학생들이 과학 전문 교과인 <정보과학>을 이수하는 형태다. 학생들은 <정보과학> 시간을 통해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을 배우고,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해 제어하는 방법을 배운다. <정보>의 심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