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수시 합격생_자연·공학·의학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 수시 합격생 인터뷰] 유니스트 기초과정부 권기범 “수학과 생활의 만남 쓸모 알면 더 재미있어요” 권기범 | 유니스트 기초과정부, 대전 대신고 졸업 일찌감치 수학 분야로 진로를 결정했기 때문에 수업과 연계한 학교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 모두 수학 이론을 증명하고 활용하는 쪽에 끌렸다. 3학년 때 접한 을 통해 수학에 대한 호기심과 문제 해결의 즐거움을 더 진하게 만끽했다. 유니스트 권기범씨는 수학 분야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종합대학 3곳과 과학기술원 3곳에 합격했다. 대학은 달랐지만 모두 수학과에 지원했고, 긴 고민 없이 유니스트로 최종 입학을 결정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을 응용하는 공부를 하기엔 유니스트의 다중 전공, 투 트랙 제도가 최적의 시스템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학이 좋은 진짜 이유를 묻자 “반드시 답이 존재하되, 수학의 유용성을 알면 알수.. [2020 수시 합격생 인터뷰] 이화여대 융합학부 뇌인지과학전공 최진하 심리학과 생명과학 융합한 뇌과학, 내게는 알고 싶은 미지의 세계 최진하 | 이화여대 융합학부 뇌인지과학전공, 경기 인창고 졸업 과학을 좋아했기에 물·화·생·지 네 과목을 모두 배울 수 있다는 점에 끌려 과학 중점 학급을 운영하는 경기 인창고에 지원했다. 세월호 유가족 등 사회적 트라우마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해온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박사의 강의를 우연히 듣고 난 후부터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한데 심리학은 대부분 인문 계열로 분류되기에 과학 연구원과 심리학 사이 절충할 수 있는 분야가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를 쓴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교수를 통해 ‘뇌과학’이라는 영역을 알게 됐다. 사람의 심리를 과학적으로 설명해낼 수 있다는 사실이 마냥 신기했다. 이화여대 융합학부 뇌인지과학전공은.. [2020 수시 합격생 인터뷰] 한양대 산업공학과 박상욱 교실에서 더욱 빛난 발명·창업 아이디어,스타트업 CEO를 꿈꾸다 박성욱 | 한양대 산업공학과, 대전대신고 졸업 ‘스타트업 CEO’는 학생부 진로 희망 사항에서 줄곧 빠지지 않고 등장한 단어다. 최근 시대를 대표하는 유행어처럼 떠오른 ‘스타트업’에 진작부터 꽂힌 이 학생은 한양대 산업공학과 1학년 박성욱씨다. 수시 지원 학과도 산업공학과로 집중할 만큼 성욱씨의 목표는 선명했다. 생활 속 호기심과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세상을 바꾸는 방법을 찾는 일이 주된 관심사였다. 특히 학교생활을 즐겁게 하는 데선 그의 아이디어가 더욱 빛을 발했다. 발명과 창업,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열정으로 똘똘 뭉친 성욱씨는 자신의 심장을 뛰게 하는 일이라면 거침없이 도전해야 한다고 말한다. 취재 홍정아 리포터 jahong@naei.. 이전 1 2 3 다음